2020년 최저임금 월급계산법 및 실수령액
2020년 최저임금 월급계산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2020년이 밝으면서 많은 분들이 최저임금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궁금해 하십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내 월급을 어떻게 계산하는지도 궁금해 하십니다.
1. 최저임금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020년 최저임금 월급계산을 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를 하려고 합니다. 이렇게 따졌을 때 실수령액은 과연 얼마나 될까 참 궁금한데요? 아마 자영업자분들이나 아르바이트생 그리고 직장인 분들이 임금 상승이 어떻게 될지 제일 궁금해 할 것 같네요.
2020년 최저임금 월급계산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2019년에 비해 어느정도 최저로 지급되는 임금이 올랐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2020년의 최저로 정해진 임금은 8590원으로 2019년 8350원으로부터 약간 상승했습니다.
이제 2020년 최저임금 월급계산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소개해 보겠습니다. 아마 이미 아르바이트를 많이 해보신 분들이나 자영업자분들은 능숙하게 하실 수 있을 것 입니다. 하지만 처음 아르바이트를 하시는 분들은 어려울테니 설명드리겠습니다.
2020년 최저임금 월급계산은 일단 내가 일주일에 얼마나 일을 하는지 부터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지 주휴수당에 대한 것을 책정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일단 기본적으로 최저임금을 내가 일한 시간으로 곱했을 때 나오는게 내가 받을 수 있는 월급 입니다. 즉 실수령액이라는 것이죠.
하지만 2020년 최저임금 월급계산을 이렇게 하면 안됩니다. 왜냐하면 여기에 주휴수당이라는 변수가 있는데요. 예전에 제가 일했을 때는 주 15시간 이상을 일했을 때 주휴수당을 쳐줬습니다. 만약 주휴수당을 받는 아르바이트의 경우 이것도 계산을 해줘야 합니다.
2020년 최저임금 월급계산을 다시한번 정리해 보자면 내가 일하는 시간이 주 15시간이면 최저임금 x 일하는 시간 + 주휴수당이 되겠습니다. 하지만 만약 15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최저임금 x 일하는시간이 되겠습니다.
2020년 최저임금 월급계산을 하실 때 내가 일하는 시간이 15시간 미만이여서 주휴수당을 못 받는다면 단순하게 계산이 가능하지만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일한다면 주휴수당이라는 개념을 적용해야 합니다.
2. 결론
오늘 2020년 최저임금 월급계산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제가 위에서 알려드린 방법대로 계산을 하시면 실수령액을 간단하게 구하실 수 있습니다. 2020년은 2019년에 비해 약간 임금이 상승하였으니 이점 참고해주시고요.
아마 요즘엔 2020년 최저임금 월급계산을 해주는 계산기들이 많이 때문에 간단하게 실수령액을 계산하실 수 있을 것 입니다. 포털사이트나 어플 같은 것들이 워낙 많기 때문에 거기에서 입력하라는대로 숫자를 넣어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2020년 최저임금 월급계산을 하는 방법을 숙지해 놓으신다면 간단하게 손으로도 실수령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내가 받는 월급계산 정도는 할 줄 알아야 잘 못 들어올 경우 얘기를 할 수 있으니까요. 그러니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2020년 최저임금 월급계산을 할줄 모른다면 내가 일한 것보다 적게 들어왔을 경우 모를 수가 있습니다. 물론 일부러 그렇게 주는 경우는 거의 없겠지만 혹시나 실수로 그런일이 일어났을 때 실수령액을 계산할줄 안다면 이런 일을 방지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오늘 제가 준비한 2020년 최저임금 월급계산에 대한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다들 계산법에 대해 참고하셔서 내가 이번달에 받는 실수령액을 미리 계산하신 후 일한만큼 정확하게 받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